맑음
SEOUUL JAYANGDONG 17
  • 마이페이지
  • 로그아웃
  • 회원가입
  • 로그인

전체 메뉴

  • 천문과학
  • 우주개발
  • 심층기획
    • SCIENTIST
    • HISTORY
    • ISSUE
  • 이달의 밤하늘
  • 카드뉴스
  • 연재
  • 천체 갤러리
  • 칼럼
  • 다큐/영상
천문과학
우주개발
심층기획
  • SCIENTIST
  • HISTORY
  • ISSUE
이달의 밤하늘
카드뉴스
연재
천체 갤러리
칼럼
다큐/영상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 천문과학
  • 우주개발
  • 심층기획
  • 이달의 밤하늘
  • 카드뉴스
  • 연재
  • 천체 갤러리
  • 칼럼
  • 다큐/영상
  • 신문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마이페이지
  • 로그아웃

얘들아, 우주로 함께 가자! UNAWE Korea와 같이~

‘보람, 뿌듯함, 행복, 즐거움, 그리고 사랑과 배움의 시간.’   2019년 한 해 동안 함께한 과학 나눔 봉사자들의 에필로그이다. 나눔은 소통하는 것이라 전했던 나의 부족한 교육에도 기꺼이 최선을 다해준 고등학

이정애 기자   20.04.29 15:16

스마트폰으로 천체사진 찍기 : 스마트폰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 3 -

'천체사진'이라고 인터넷 검색을 하면 알록달록한 색을 가지고 다양한 모양의 화려한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대상들을 실제로 관측하기 위해 관측 후기를 찾아보면 많은 글에 이렇게 남겨져 있습니다.

[4월의 밤하늘] 초승달만큼 밝아질 아틀라스 혜성이 온다!

어느덧 꽃샘추위도 물러가고 추위에 떨며 별을 보던 힘든 시기가 끝났습니다. 주변 곳곳에는 피어나는 꽃들로 인해 이제 봄이 절정으로 향하고 있음을 실감합니다.   일반적으로 4월은 별 보기에 마냥 좋은 시기는

최신 기사

  • [Astronomy]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 올버스 패러독스

    21.01.22 16:14
  • MY-EAUNAWE Solar Eclipse Marathon을 함께하며

    20.06.23 15:02
  • AstroEDU 플랫폼을 만나다!

    20.05.27 17:24
  • [5월의 밤하늘] 아듀, 금성!

    20.05.04 16:18
  • 얘들아, 우주로 함께 가자! UNAWE Korea와 같이~

    20.04.29 15:16
  • 스마트폰으로 천체사진 찍기 : 스마트폰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 3 -

    20.04.28 11:50
  • [4월의 밤하늘] 초승달만큼 밝아질 아틀라스 혜성이 온다!

    20.04.02 12:07
  • 스마트폰으로 천체사진 찍기 : 스마트폰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 2 -

    20.04.02 11:25

섹션 주요뉴스

  • 연재
    MY-EAUNAWE Solar Eclipse Marathon을 함께하며
  • 연재
    AstroEDU 플랫폼을 만나다!
  • 이달의 밤하늘
    스마트폰으로 천체사진 찍기 : 스마트폰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 이달의 밤하늘
    천문대여행(2) 봄철 은하관측

천문과학

  • [Astronomy]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 올버스 패러독스

    하인리히 올버스 (Heinrich Olbers ; 1758 ~ 1840)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어떻게 보면 참 우스운 질문이고 어떻게 보면 철학적인 질문인 듯도 합니다. 사람들은 그냥 '태양이 없으니까 당연히 어둡지. '라

  • "제9행성 아닌 작은 천체 집단중력이 다른 궤도 만들어"

    태양계 끝에 과연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행성X 또는 제9 행성이 존재하는지를 둘러싼 논쟁이 뜨거워질 전망이다.제9 행성 가설은 카이퍼 벨트의 작은 천체를 비롯한 해왕성 바깥의 천체(TNO) 대다수가 태양 주변을

  • "지구를 지켜라"…2027년 소행성 충돌 모의 훈련

    "8년 뒤 지구충돌 확률이 100분의 1에 달하는 소행성 '2019 PDC'로부터 지구를 지켜라."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인류에게 엄청난 재앙을 가져다줄 수도 있는 소행성의 지구충돌에 대비,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마련해

  • ISSUE

    [늦은감있으나의미있는] 별과 우주에 관련된 노벨물리학상이야기

    이미 수많은 기사들이 여러분들께 알려드린 올해의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과학자들과 별과 우주에 관련된 분야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던 과학자들에 대해 이야기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해요~ 이미 늦은감이 팍

    박솔 기자 2019.11.29
  • HISTORY

    [광복절특집] 윤동주가 바라본 별 헤는 밤

    지난 7월 중순 스페이스타임즈의 8월 기사를 준비하면서 광복절 특집기사로 윤동주가 바라본 밤하늘이라는 주제를 받아 들었습니다. 당시에도 한일관계는 어려웠지만 점차 꼬여가는 최근의 시국은 이 주제를 예상보

    김정현 기자 2019.08.14
  • ISSUE

    [에딩턴의 일식 100주년 특별기획] 개기일식 관측 - 2 -

    개기일식 이해하기개기일식을 잘 보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일월식에 대한 다양한 자료는 NASA Eclipse 사이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2019년 7월 2일 개기일식에 관한 NASA Eclipse의 자료입니다

    김정현 기자 2019.05.14
  • ISSUE

    [에딩턴의 일식 100주년 특별기획] 블랙홀과 상대성이론

    2019년은 국제 천문 연맹의 100주년을 기념하는 해이자 유인 탐사선의 달 착륙 50주년이 되는 해이며 에딩턴이 일식 관측을 통해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증명한지 100주년이 되니 과히 천문, 우주과학의

    이정애 기자 2019.05.10
  • ISSUE

    [에딩턴의 일식 100주년 특별기획] 한국에서 칠레까지, 개기일식의 여정

    2019년 여름, 한국에서 가장 먼 나라에서 개기일식이 일어난다. 다른 나라에서는 흔히도 보이는 이 개기일식이 우리나라에선 왜 그렇게 보기가 어려운지... 우연인지 필연인지 이번 일식은 칠레의 라세레나라는 곳에

    강선아 기자 2019.05.09
  • ISSUE

    [에딩턴의 일식 100주년 특별기획] 개기일식 관측 - 1 -

    잘 알려진 대로 우리 지구같은 행성들은 태양의 주위를 공전하고 있습니다. 행성들은 위성을 거느리고 있기도 한데, 지구는 유일한 위성인 달을 데리고 태양을 돌고 있습니다. 그 셋은 서로 다양하게 배열되는데 모

    김정현 기자 2019.05.08

오늘의 밤하늘

  • 스마트폰으로 천체사진 찍기 : 스마트폰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 3 -

    '천체사진'이라고 인터넷 검색을 하면 알록달록한 색을 가지고 다양한 모양의 화려한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대상들을 실제로 관측하기 위해 관측 후기를 찾아보면 많은 글에 이렇게 남겨져 있습니다.

  • [4월의 밤하늘] 초승달만큼 밝아질 아틀라스 혜성이 온다!

    어느덧 꽃샘추위도 물러가고 추위에 떨며 별을 보던 힘든 시기가 끝났습니다. 주변 곳곳에는 피어나는 꽃들로 인해 이제 봄이 절정으로 향하고 있음을 실감합니다.   일반적으로 4월은 별 보기에 마냥 좋은 시기는

  • 스마트폰으로 천체사진 찍기 : 스마트폰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 2 -

    2020년 3월 25일은 금성이 태양의 동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서 그나마 관측하기 좋은 동방 최대이각이라고 합니다. ‘그나마’라는 말을 붙인 이유는 수성이나 금성 같은 내행성 등은 지구의 공전궤도보다 안쪽에서

[5월의 밤하늘] 아듀, 금성!

어느덧 5월이 되었습니다!! 벌써 5월의 밤하늘을 알아볼  시기가 왔네요. 2020년의 1/3이 훌쩍 지나면서 흐드러졌던 4월의 벚꽃들도 내년을 기약하며 떨어지고 시내 곳곳을 영산홍들이 알록달록 예쁜 색으로 뒤덮고

  • 신문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서울특별시 양천구 중앙로32길 75, 2층  |  대표전화 : 02-419-0375  |  팩스 : 02-6974-1737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진규  |  명칭 : 스페이스타임즈   |  제호 : 스페이스타임즈
|  등록번호 : 서울 아 04823  |  등록일 : 2017-11-08  |  발행일 : 2018-01-10  |  발행인 : 김정현
편집인 : 우민경 
스페이스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스페이스타임즈.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aster@sllab.co.kr